안녕하세요. 루체입니다.
해수어 관련 포스팅을 오랜만에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해수어를 키우기 위한 재료 준비부터 시작해서 기본적인 세팅을 설명드렸는데요. 이번에는 해수어(니모)를 키울 때 조심해야할 것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해수어 처음 키우시는 분들은 물잡이부터 시작해서 처음으로 니모(흰동가리)를 우리 어항에 넣을 때가 가장 긴장되는 순간입니다. 기존에 살던 환경과 우리 어항의 환경이 비슷해야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 환경이 안맞을 시 금방 용궁으로 가버립니다.
저도 니모를 추가로 데려올 때 물이 맞질 않아 여러번 용궁으로 보내버렸네요. 미안합니다.
1. 물잡이 -
해수어를 키우신다고 선언하신 분들은 긴 인고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인내심을 갖고 계셔야 합니다. 바다 물속과 똑같은 환경을 우리 집에 조성한다고 생각하면 신기하기도 하면서 쉬운 일은 아닐거란 생각이 드실겁니디. 물잡이는 두 달 이상 걸립니다. 갈조가 오고 녹조가 오는 환경 변화를 겪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어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해수어를 빨리 만나고 싶다고 빨리 봉달을 해오면 용궁으로 보내버릴 확률이 높습니다. 최소 두 달 이상 지켜봐주시고 갈조와 녹조 사이클이 다 돌았을 때 해수어를 봉달해서 넣어주시길 바랍니다.
2. 점프사 -
물고기는 기본적으로 겁이 많습니다. 작은 변화와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어항 불을 끌 때 , 잠을 자기 위해 거실 조명을 끌 때, 어항이 흔들림이 있을 때 물고기는 크게 놀랍니다. 이 때 라이브락이 있다면 라이브락 뒤로 , 안으로 숨거나 산호가 있으면 산호로 몸을 숨기는 경우도 있으나 물 밖으로 점프하는 개체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물밖으로 나와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니모(흰동가리) 3-4마리를 점프사로 용궁보내버렸습니다. 외출갔다 오니 거실 바닥에 덩그러니 말라 죽어있던 니모의 모습 잊질 못합니다. 애지중지 4년이나 키웠던 녀석이었으니까요. 그 뒤에 재발 방지를 위해 어항 뚜껑을 설치해서 막아놨는데 완전히 막질 않아서 그 녀석도 일을 마치고 오니 거실 바닥에 죽어있었습니다. 고이 묻어줬습니다.
따라서 , 어항 물 높이는 어항 위쪽 끝에서 아래로 5cm-8cm 정도 공간을 비워주시고 관리가 가능하다면 어항 덮개로 덮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런데 덮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었습니다. 요즘 어항을 사면 여분의 작은 유리를 주는데 그걸로 어항 가쪽을 막아뒀었습니다.
3. 니모의 아픔 (병) (암모니아 수치)
일반 담수어와는 달리 해수어는 스키머를 설치해야합니다. 단백질 제거 , 유기물 제거하는 스키머인데요. 해수 환경이 그만큼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손이 많이 갑니다. 계획적으로 어항의 규모와 스키머 , 그리고 여과기 용량 등을 보고 그것에 맞게 몇 마리의 해수어와 산호들을 키워야하는지 계산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한 녀석은 점프사로 용궁갔고 오른쪽 녀석은 새로 데려온 녀석인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서 지느러미가 녹아 용궁에 갔습니다. (ㅠ_ㅠ)
지느러미가 녹는다
니모를 키우다보면 잘 키우다가 갑자기 니모 지느러미가 녹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땐 니모가 아프다는 것이지요. 제 경험상엔 니모 지느러미가 녹으면 살 확률은 낮았습니다. 니모 꼬리 지느러미가 짧아지거나 녹는다면 니모 개체가 약하거나 물 환경이 맞지 않다는 겁니다. 지느러미가 녹지 않도록 환경을 주기적으로 관리해주시고 니모 지느러미 상태를 관찰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빨리 환수를 한다던지 박테리아제, 치료제를 투입한다던지 처방을 해야합니다.
3. 장기간 집을 비울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
여행을 갈 때 또는 장기간 집을 비워야하는 상황에는 증발하는 물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많으실겁니다. 그땐 직접 보충수통을 제작하시는 분도 계시고 근처 수족관에서 보충수통을 사서 달고 가십니다.
어항 규모가 크시면 보충 수통도 크게 준비하셔야하고 어항 규모가 작으면 30큐브 40큐브 는 보충수통 1리터짜리 달아놓으니 4-5일은 물깊이가 유지가 됐습니다. 해수어 먹이의 경우엔 기본적으로 일주일은 먹이를 안먹어도 산다고 하니 일주일 정도는 크게 걱정안하셔도 되겠습니다.
'해수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만원으로 해수어 키우기 4편] 물잡이 및 봉달 (0) | 2020.01.20 |
---|---|
[10만원으로 해수어 키우기 3편] 해수어항 준비물 구입하기 2 (2) | 2020.01.17 |
[10만원으로 해수어 키우기 2편] 해수어항 준비물 구입하기 (0) | 2020.01.16 |
[10만원으로 해수어 키우기] 니모 만나기 1편 (0) | 2020.01.14 |